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꿀팁

재산세 납부 최신정보 총정리!

by kwon0005 2025. 7. 17.
반응형

 

 

매년 7월, 내 재산세는 어떻게 달라질까?


지금 이 글을 클릭한 당신은 아마도 그런 고민을 하고 계실 거예요.


매년 6월 1일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7월과 9월, 두 번의 재산세 납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잘못하면 가산금까지 붙기 때문에, 납부기한, 세율, 조회·납부 방법, 계산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어요.

 

저는 올해 5년째 재산세를 납부하면서 직접 경험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신 재산세 납부 일정

 

재산세 조회 및 납부 방법

 

내 집 재산세 계산법

 

자주 묻는 질문(FAQ) 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목차

  1. 2025년 재산세 납부 일정과 기준일
  2. 재산세 과세대상 & 과세표준
  3. 재산세 세율 표 & 지방교육세
  4. 재산세 조회·납부 방법 총정리
  5. 가산금·세부담상한제 안내
  6. 마치며: 실제 사례로 본 절세 팁
  7. 관련 글
  8. 자주 묻는 질문(FAQ)
 

1.  2025년 재산세 납부 일정과 기준일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현재 주택·건축물·토지·선박 등 실제로 보유 중인 자
  • 1기분(주택 절반·건축물·선박 등):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주택 나머지 절반·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재산세 총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 7월에 일시 납부 가능 

 

 
 

 

 

2. 재산세 과세대상 & 과세표준(계산법)

 

  • 과세대상: 6월 1일 기준으로 보유 중인 주택, 토지, 건축물, 선박 등
  • 과세표준 계산:
    •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 × 공정시장가액 비율
    • 주택 기준: 공시가격 × 공정비율 (2025년 기준 43~45%, 다주택자·법인은 60%)
 
 
 

3. 재산세 세율 표 & 지방교육세

 

  • 주택 과세표준(기본세율):
  • 구간 / 세율
    6천만 이하 과세표준 × 0.1%
    6천만 초과 ~ 1억5천만 6만 + (초과액 × 0.15%)
    1억5천만 ~ 3억 19만5천 + (초과액 × 0.25%)
    3억 초과 57만 + (초과액 × 0.4%)
    지방교육세는 본세의 20% 추가로 부과  

     

  • 도시지역분: 과세표준 × 0.14% (특정지자체 적용 지역) 
 
 

4. 재산세 조회·납부 방법 총정리

 

  • 고지서 수령: 우편 또는 전자고지(email/SMS) 신청 가능
  • 납부 채널:
    • ETAX(서울시), 위택스(그 외 지자체)
    • 은행 CD/ATM
    • 편의점 (대표 5개 편의점)
    • ARS(☎1544‑9944 또는 1599‑3900) 
  • 전자고지·자동이체 혜택: 건당 800원 세액공제, 최대 1,600원 절세 가능
  • 편의 제공 서비스:
    • 야간 민원 서비스
    • SMS 납부 알림
    • 컬러링 납세 홍보 (서초구 등 지자체 별도 운영) 

 

 

 

5. 가산금·세부담상한제 안내

  • 납부 지연 시:
    • 7월분: 마감 후 3% 즉시 가산
    • 본세 45만원 초과 시: + 매월 0.66% (최대 60개월) 
  • 세부담상한제: 전년 대비 과도한 증가를 방지
    • 주택: 공시가격 구간에 따라 105~130% 범위
    • 기타: 전년도 대비 최대 150%까지 한정 
 

6. 실제 사례로 본 절세 팁

5억 공시가격(과세표준 45%) → 2억2천5백만 원

  • 기본세율(0.25%) = 56만2천5백원
  • 지방교육세 20% 추가 = 11만2천5백원
  • 도시지역분 = 3만1,500원
    총 납부액70만6,000원

절세 노하우 요약:

  • 전자고지/자동이체로 1,600원 절세
  • 가산금 피하려면 마감일 제품 당일, 추천
  • 공정시장가액비율공시가격 추이를 매년 확인
 
 
 

7. 관련 글 - 지금 확인하세요

 

위텍스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부가세 신고, 환급 최신 정보!

매년 돌아오는 부가가치세 신고 시기, 처음 접하는 분들은 물론, 몇 년째 반복 중인 사업자들도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 역시 자영업을 시작한 첫 해에는 '부가세 환급금 지급일이 도대체

bb.k0001.co.kr

 

 

법인세 신고 기간 꿀팁!

2025년 상반기, 중소·중견 법인들의 법인세 및 소득 신고 준비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법인 종합소득세”라고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법인은 ‘법인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이

kwon0001.tistory.com

 

 

중복지원? 민생회복 소비쿠폰 - 비수도권 +3만 vs 농어촌 +5만

중복지원 여부 궁금하시죠? “내 주소지가 비수도권이고, 그것도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이라면 +3만 원뿐이 아니라 +5만 원도 받을 수 있나요?”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부분이라, 이번 글에서 “민

kwon0001.tistory.com

 

 

신생아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

“9월에 아기를 출산할 예정인데, 소비쿠폰을 받을 수 있을까?”새로운 가족을 맞이하며 소비쿠폰 지급 여부가 궁금한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

kwon0001.tistory.com

 

 

사망자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소식에 많은 분들이 반가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기준일 이후 사망한 가족이 있는 경우,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을 모르고

kwon0001.tistory.com

 

 

민생회복 지원금, 대리 신청서류, 신청방법 총정리!

“직접 신청이 어렵다면, 가족이 대신 신청해도 되나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고령자나 거동이 불편한 분들의 경우 대리 신청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의가

kwon0001.tistory.com

 

 

군인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의무복무 중인 군 장병도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을 수 있을까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YES!”, 군 복무 중이라도 소비쿠폰 신청과 사용이 가능하며,정부는 군인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신청

kwon0001.tistory.com

 

 

요양병원 입소자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요양병원에 계신 부모님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받을 수 있나요?”고령이나 질병으로 요양병원이나 시설에 입소 중인 분들도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하고 수령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돼 있

kwon0001.tistory.com

 

 

MBTI 무료 검사 총정리!

“MBTI 검사는 언제까지 말만 듣고 있을 건가요?”“간단하고 정확한 MBTI 검사 + 16가지 유형 해석까지 보고 싶다!” 하시는 분 많으시죠?이 글에서는 무료 MBTI 검사, MBTI 결과 비교, MBTI 추천 방법,

k0001.co.kr

 

 

MBTI 16가지 유형

MBTI란?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4가지 축(E/I, S/N, T/F, J/P)을 통해 사람의 성격 유형을 총 16가지로 분류하는 도구입니다. MBTI 16가지 유형 아래는 16가지 MBTI 유형을 4개 그룹(SP, SJ, NT, NF)으로 나

k0001.co.kr

 

 

 

8. FAQ

 

Q1. 기준일 6월 1일, 이사 또는 매매 시 세금은 누가 내나요?
 잔금일 기준입니다. 6월 1일 이전에 잔금 완료했으면 매도자, 이후면 매수자가 납부 책임이 있습니다.

 

Q2. 1가구 1주택자 세율 혜택은 언제까지 적용되나요?
→ 2025년에도 공시가격 9억 이하 1주택자는 기본세율에서 0.05% 인하되어 적용됩니다 

 

Q3. 재산세 조회는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7월 10일 이후, 고지서를 발송하거나 전자고지되면 바로 조회 및 납부 가능합니다 

 

Q4. 전자고지·자동이체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ETAX, 위택스 로그인 후 [전자고지 및 자동이체 신청] 메뉴에서 신청 가능하며, 자동 납부하면 800원 세액공제됩니다.

 

Q5. 가산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미납 시 3% 즉시 가산, 45만원 초과 시 월 0.66% 추가, 최대 60개월까지 누적 .

 

 

9. 마무리

 

손해 없이, 똑똑하게 납부하는 재산세


정확한 기준일 확인, 과세표준 & 세율 계산, 납부 채널 활용만 잘해도 연 10만원 이상 절세 가능해요.


다가오는 7월, 재산세 놓치지 마시고 꼭 챙기세요!

 

오늘도 유익한 정보되셨길 바라며, 좋은 하루 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남겨 주세요!

 
 
 

 

반응형